경상북도치과의사회. 치아의 건강을 위해 경상북도치과의사회가 함께합니다.

62회 이전 회보

Home > 회원마당 > 회보 > 62회 이전 회보

무선랜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축 -박충제

회차
제 48호 협회 회보
작성일
2003.03.16. 21:13:00
조회
142
첨부
무선랜이란?
  몇 년 전 인터넷이라는 개념조차 널리 사용되지 않을 때, 우리의 인터넷 이용 방법은 모뎀을 이용한 전화접속 네트워킹이 고작이었다.
  28800bps의 속도, 3분에 40원씩 하는 전화비용, 월 1만원정도의 ISP비용 등 우리의 인터넷 환경은 매우 열악한 상황이었다.
  간단한 프로그램 하나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2-3시간을 컴퓨터 앞에서 꼼짝않고 기다려야 하는 것이 예사였다.
  "화장실에 앉아서" 인터넷 작업을 하다니! 당시로선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어떠한가?
  전국 어디에서나 최고 10Mbps의 초고속인터넷을 일정요금만으로 1일에 24시간, 1주일에 7일, 1달에 30일 무제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회원들께서도 과거의 궁핍한 인터넷 환경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인터넷 생활을 즐기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병원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은 만들어졌지만, 그것은 초고속통신용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앞에 있을 때뿐이다.
  여러분의 가정에 있는 여러 개의 방에 각각 컴퓨터가 있고 이 모든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모든 방마다 번거로운 네트워크 케이블 설치작업을 해야 한다.
  병원에서의 케이블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병원에 인테리어 작업을 하면서 네트워크 케이블을 이미 설치해 놓았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벽이나 천장을 뚫음으로써 기존 인테리어의 손상이 불가피하고 보기 흉하게 진료실을 가로지르는 네트워크 케이블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만 했다.
  필자의 경우에도 개원하면서 병원 내부에 네트워크 케이블 설치 작업을 미처 하지 못했었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면서 진료실, 원장실, 접수실에 산재해 있는 여러 대의 데스크탑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를 랜으로 묶어서 네크워크화하고 모든 컴퓨터에서 인터넷 작업도 가능하게끔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역시 문제는 기존의 인테리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눈에 띄지 않도록 숨겨서 네트워크 케이블을 병원에 설치하는 일이었다.
  며칠을 인터넷을 뒤져서 발견한 해결책이 바로 무선랜을 이용한 네트워크 솔루션이었다.
  무선랜은 이미 몇 년 전에도 있었던 네트워크 솔루션이다.
  당시에는 가격이 유선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 실제 사용하기에는 큰 부담이 되었었다.
  하지만 최근에 무선랜 솔루션은 크게 대중화되어 이제는 누구나 쉽게 접근해볼 만한 가격대가 되었다.
  무선랜을 쉽게 풀이하면 기존 유선으로 연결되는 지저분한 케이블 대신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해 파일 공유나 인터넷 작업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 주파수는 무선 전화기나 다른 가정용 무선기기와 혼선될 염려가 없다.
  대부분의 무선랜은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치들이 동일한 신호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는 적외선과 달리 전송 거리에 한계가 없고 건물 벽이나 바닥을 통과하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아주 넓은 규모의 사무실이나 병원에서 실제 사용할 경우엔 어느 정도 제한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이럴 경우에는 로밍 기능을 이용해 몇 개의 액세스 포인트를 추가로 설치해 사용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없으므로 시공이 쉽고 사용 또한 편리하며,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노트북 컴퓨터나 PDA 등 이동성 기기에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장비가 필요한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핵심장치인 무선 공유기(액세스 포인트), 노트북컴퓨터에 꽂을 PCMCIA 무선랜 카드, PC에 꽂아 쓰는 USB 어댑터가 있어야 한다.
  2.4Ghz대 주파수를 쓰고 최고 11Mbps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802.11b 표준을 따르는 제품을 써야 궁합 걱정을 않는다.
  A사 무선 공유기를 구입하고 B사 PCMCIA 무선랜 카드를 구입하더라도 표준을 따르는 제품이면 문제없다.
  그 중에서 와이파이(WI-FI) 로고가 붙은 것이 가장 무난하다.
  140여개가 넘는 네트워크와 PC 관련 회사들이 뭉친 WECA에서 테스트를 해 802.11b 규격을 따르는 제품끼리 완벽하게 호환할 때 와이파이 인증을 주기 때문이다.

① 무선 공유기(액세스 포인트)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가운데 놓아야 할 핵심 장치다.
초고속 인터넷 회선을 무선 공유기에 꽂으면 인터넷을 무선랜 카드를 꽂은 노트북과 무선 어댑터가 달린 PC에 뿌린다.
  따라서 이 무선 공유기를 놓을 위치를 잘 정해야 효율적인 네크워크 연결이 가능하다.
  두꺼운 벽을 통과하면 아무래도 속도가 떨어지므로 거실처럼 집 한가운데에 위치하면서 가능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다른 무선 장치가 신호를 잘 잡기 때문이다.
  ADSL을 쓰는 사람이라면 무선 공유기가 PPPoE 접속할 수 있는지 살피는 것이 좋다.
  그래야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② USB 무선 어댑터
무선 네트워크는 노트북 중심이라 그 동안 PCMCIA 무선랜 카드가 주류를 이뤘다.
  PC와 노트북에서 모두 쓰는 USB 어댑터는 값은 좀더 비싸지만 USB 포트에 바로 끼우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연결하려는 PC가 데스크탑이라면 PCMCIA 카드를 PCI 어댑터에 꽂는 조합보다 훨씬 낫다.  USB 포트로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전원도 따로 필요 없다.















③ PCMCIA 무선랜 카드
  노트북 컴퓨터에 꽂는 PCMCIA 무선랜 카드는 무선 공유기와 찰떡 궁합을 이룬다.
  PCMCIA 모뎀처럼 생겼지만 옆으로 더 나왔다. 여기에 상태와 전원을 표시하는 LED 창이 있다.










④ PCI 어댑터
PC로 무선 네트워크를 만들 때 주로 쓴다.
  PCMCIA 무선랜 카드를 넣은 뒤 PCI 슬롯에 꽂아 쓴다.
  무선랜 카드가 있을 때 PC와 노트북을 번갈아 쓴다면 이 조합을 갖추기도 한다.
  USB 무선 어댑터에 비해 불편한 편이다.

  홈 네트워크 만들기
  까다로운 것은 없다.  무선 공유기 혹은 액세스 포인트(AP)는 PC를 연결하는 것을 돕는 중계자이며 모든 네트워크 장비를 같은 SSID로 묶고 통신할 떄 쓰는 채널만 서로 맞추면 된다.  채널은 1∼15번까지 있지만 보통 AP의 채널은 1∼7번에 고정돼 있기 때문에 설치 전 AP의 채널을 확인해야 한다.
  단 AP와 수신기의 5m 이내에 전자레인지가 있으면 전파교신에 의한 기기 성능저하 문제가 있으므로 AP와 수신기의 채널을 11번 이상으로 맞춰야 한다.
  무선랜 카드를 위한 전용 유틸리티가 있어 매뉴얼에 따라 하면 초보자도 5-10분 정도에 모든 셋업이 가능하다.
1. ADSL/케이블 모뎀 뒤쪽에 랜 포트가 있다. 그곳에 랜 선을 꽂는다.
2. 무선 공유기와 초고속 모뎀을 연결하자. 모뎀에 꽂은 랜 선의 끝을 무선 공유기 뒤에 있는 랜 포트에 꽂는다.
3. 노트북의 빈 슬롯에 PCMCIA 무선 랜 카드를 꽂는다.
4. 제조회사가 함께 제공한 CD에서 드라이버를 깐다.
5. 셋업 유틸리티를 깔아 무선 공유기를 찾는다. SSID가 같도록 조정한다.
6. PC에 연결할 때도 방법은 같다. USB 포트을 꽂은 뒤 드라이버를 깔고 무선 공유기를 찾는다.



무선랜 네트워크의 미래

  설치와 편리성 때문에 무선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무선랜 관련 제품을 찾아보기란 하늘의 별 따기 같았지만 최근에는 아주 쉽게 무선랜 장치를 구입할 수 있게 되었고 무선랜에 대한 정보도 예전보다 훨씬 많은 양이 제공되고 있다.
  유선을 이용한 인터넷 수준의 속도와 상대적으로 부담이 크지 않은 가격, 무선 네트워크 구축의 편리성이 하나로 합쳐져 무선랜은 컴퓨터 시장의 새로운 수요를 창출해내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무선랜을 이용하면 인사이동이나 자리배치를 다시 할 때 복잡한 네트워크 선 정리 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인력이 많은 기업 위주로 사옥 내부를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교체하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물론 네트워크 케이블
Total : 426개 (page : 24/29)
No. 제목 회차 작성일 조회
81 군위 이광렬 회원 자랑스런 도민상 수상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251
80 [공고] 52회 정기 대의원 총회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212
79 의보진료비 비상근 심사위원 위촉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18
78 근로자 구강검진 방법 개선에 대해 관계기관에 건의문 송부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10
77 2002년도 임원 및 지구 분회장 합동 연수회 개최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49
76 수재 및 불우 이웃돕기 성금 835만원 전달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51
75 회원 복지기금에서 보조금 전달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68
74 홈페이지 과대광고 회원에 시정 촉구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92
73 의 료 광 고 해 설 -박병일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17
72 나의 경상북도 치과의사회 회장시절 -김규진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45
현재글 무선랜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축 -박충제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43
70 각종 전동화일과 수동화일 사용의 정리된 이해 -김성교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33
69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성장기 골격성 2급환자 치험례 -김동수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81
68 제 3회 합동회의 의결사항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54
67 제 4회 합동회의 의결사항 제 48호 협회 회보 2003.03.16 138